티스토리 뷰
손석희의 질문들에서 홍준표와 유시민이 대한민국 정치의 뜨거운 감자인 12·3 비상계엄과 내란 혐의를 두고 치열한 토론을 벌였습니다.
이 논쟁이 가지는 의미와 대한민국 정치의 향방을 분석 합니다.
손석희의 질문들, 대한민국을 뒤흔들다
MBC의 시사 토크쇼 '손석희의 질문들'이 다시 한번 대한민국 정치의 중심에서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켰습니다.
2023년 '100분 토론' 1000회 특집 이후 처음으로 맞붙은 홍준표 대구시장과 유시민 작가가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과 내란 혐의를 두고 정반대의 입장을 펼치며 팽팽한 신경전을 벌였습니다.
손석희 앵커는 "이제 탄핵 여부는 헌법재판소의 판단만 남아 있고, 내란 혐의는 법원의 결정이 필요하다"며 여론조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58%는 '이번 비상계엄은 위헌적 중대 범죄'라고 응답했으며, 39%는 '합헌적 대통령 권한 행사'라고 답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두 논객의 입장은 극명하게 갈렸습니다.
12·3 비상계엄과 내란 혐의, 그 논란의 중심
2024년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내란 혐의로 기소되면서 대한민국 정치권이 요동쳤습니다.
당시 윤 대통령은 비상계엄을 선포했으나, 불과 2시간 만에 철회했습니다.
이를 두고 단순한 경고였는지, 실제 내란을 시도한 것인지를 두고 정치권은 물론 국민들의 의견도 분분했습니다.
홍준표 시장은 "비상계엄은 일종의 해프닝"이라며 윤 대통령의 내란 혐의는 성립되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유시민 작가는 "운이 따르지 않아 실패한 것일 뿐, 성공했다면 우리는 지금 이 자리에 없었을 것"이라며 내란으로 봐야 한다고 반박했습니다.
홍준표 vs 유시민, 두 논객의 대립
홍준표 시장은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야당의 프레임이라 주장했습니다.
"내란은 살인과 방화가 동반돼야 하는데, 이번 계엄은 군인들이 나와 시늉만 했을 뿐이다"라며 내란죄가 성립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반면 유시민 작가는 "군을 동원해 국회를 봉쇄하고, 경찰을 시켜 국회의원을 체포하려 한 것은 명백한 내란 행위"라고 비판했다.
토론이 진행될수록 손석희 앵커는 두 논객에게 날카로운 질문을 던졌습니다.
특히 홍준표 시장이 "박정희 대통령의 10월 유신은 명백한 내란이었다"고 발언하자, 손석희는 "그렇다면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과 다를 게 무엇인가?"라고 되물으며 논쟁을 더욱 뜨겁게 만들었습니다.
직권남용인가, 내란인가
홍 시장은 내란죄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폭동이 발생해야 한다"며 "이번 사건은 직권남용죄에 해당할 가능성은 있지만, 내란은 아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유 작가는 "대통령이 직접 국회를 해산하고, 군을 동원해 정치적 반대 세력을 억압하려 한 것 자체가 내란" 이라며 강하게 반박했습니다.
특히 유 작가는 "대한민국의 법 질서를 무시하고, 권력 기관을 동원해 탄핵을 막으려 한 윤 대통령의 행동은 조폭과 다를 바 없다"며 직설적으로 비판했습니다.
비상계엄은 '해프닝'인가 '쿠데타'인가
홍준표 시장은 "비상계엄이 진짜라면 국회의원들이 서울에 있을 때 실행했을 것"이라며, 실제 계엄을 실행할 의도가 없었음을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유 작가는 "기상 상황이 좋지 않았고, 시민들이 국회로 몰려든 것 때문에 실패한 것일 뿐"이라며 실패한 쿠데타라고 평가했습니다.
특히 유 작가는 "만약 계엄이 성공했다면 이 토론은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결과론적으로 어설퍼 보이지만, 그 시도 자체가 무서운 일"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여론의 반응과 정치적 여파
토론이 끝난 후, 방송은 엄청난 파장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이날 방송은 전국 시청률 8.6%를 기록하며 자체 최고 시청률을 경신했습니다.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뜨거운 논쟁이 이어졌습니다.
한쪽에서는 "비상계엄이 너무 어설펐다. 내란죄는 무리한 주장" 이라는 의견이, 다른 한쪽에서는 윤 대통령은 내란을 시도한 것이며, 반드시 처벌받아야 한다" 는 반박이 나왔습니다.
대한민국 정치의 새로운 분기점
이번 토론은 대한민국 현대 정치사에서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12·3 비상계엄과 내란 혐의를 둘러싼 논쟁은 단순한 법적 문제를 넘어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근본을 시험하는 사건으로 평가됩니다.
앞으로 이 논쟁이 어떤 정치적 결말을 맞이할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콴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및 조건 총정리 (1) | 2025.01.31 |
---|---|
2025 유로파리그: 손흥민과 토트넘의 도전 (1) | 2025.01.31 |
2025 챔피언스리그 토너먼트 일정 (0) | 2025.01.30 |
2025 챔피언스리그 토너먼트 분석 및 전망 (0) | 2025.01.30 |
연봉 실수령액이란? 2025년 기준 계산법과 절세 팁 (1) | 2025.01.30 |